재밋는 동적 매크로
#define SHOW(id) \
{\
GetDlgItem(IDC_BUTTON##id)->ShowWindow(SW_SHOW);\
}
이렇게 하면
SHOW(4);
IDC_BUTTON4 리소스를 컨트롤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호출 할 수 있다.
이놈의 리소스 ID는 작 맘대로 생겨 버려서…
연번이 안되는 경우가 있어서 반복문을 사용하기 영~ 않좋다.
공간나눔
재밋는 동적 매크로
#define SHOW(id) \
{\
GetDlgItem(IDC_BUTTON##id)->ShowWindow(SW_SHOW);\
}
이렇게 하면
SHOW(4);
IDC_BUTTON4 리소스를 컨트롤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호출 할 수 있다.
이놈의 리소스 ID는 작 맘대로 생겨 버려서…
연번이 안되는 경우가 있어서 반복문을 사용하기 영~ 않좋다.
다 그런건 아닌데요.
스트럭처(구조체, structure)를 파일로 저장할때 신경질이 날때가 있습니다.
typedef struct tagMyStructure
{
int nIdx;
int nNo;
short shAge;
int nIncome;
} MYSTRUCTURE;
MYSTRUCTURE data;
data. nIdx = 0;
data.nNo = 10;
data.shAge = 40;
data.nIncome = 100000;
FILE *hFile;
errno_t eNo = _tfopen_s( &hFile, _T( \temp\test.bin ), _T( “wb” ) );
fwrite( &data, sizeof( data ), 1, hFile );
fclose( hFile );
라고 구조체를 정의하고 필요한 값을 넣은다음에 파일에 써 넣으면 예상과 다른 결과를 마주하게 됩니다.
위에서 저장한 test.bin 파일을 헥사 뷰어 등으로 열어보면
원하는 거… (예상)는 다음과 같을겁니다.
(int : 4바이트, short는 2바이트 이니깐요…)
00 00 00 00 0A 00 00 00 28 00 A0 86 01 00
근데 실제로 헥사 뷰어로 열어보면
00 00 00 00 0A 00 00 00 28 00 CC CC A0 86 01 00
short 뒤에 두바이트가 끼어 들어가요!!!!
뭐뭐임!!!! 내가 원하는건 이게 아냐!!!
컴터야 왜 오동작하니….라고 생각할 수 있어요.
일단 급한건 해결방법
위에 스트럭쳐를 선언할때 위 아래로 다음과 같이 선언해 주세요
pragma pack(push, 2)
typedef struct tagMyStructure
{
int nIdx;
int nNo;
short shAge;
int nIncome;
} MYSTRUCTURE;
pragma pack(pop)
다시 컴파일해서 실행해보면 예상하는데로 결과가 잘 나옵니다.
이제 원인을 알아볼까요?
원인은 우리 컴터가 데이터를 32비트(즉 4바이트)단위로 처리를 하기 때문입니다.
뭐 … 성능때문에 메모리를 4바이트 단위로 읽어서 처리를 한다는게 기본 사상인데요.
한바이트씩 읽으면 4번할꺼 4바이트 한방에 읽으면 속도가 빨라지는 건 당연하겠죠. 그러나 그게…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시간인지는 모른다에 한표…
하여간… 그런 이유로 파일로 저장할때 구조체의 요소를 다 4바이트로 봐 버립니다. 젠장..
그래서 중간에 껴 있는 short 뒤에 2바이트가 껴들어가는거죠.
실제로 sizeof( data ) 로 구조체의 사이즈를 재면 16이 나옵니다.나는 12바이트짜리 구조체를 선언했는데 말이죠..
그래서 파일 저장도 16바이트가 되버리는데 short에는 2바이트만 정상적인 데이터가 있으니깐 쓰레기 2바이트가 껴 들어가게 됩니다.
이걸 정상화(?) 하기 위해서 #pragma pack(push, 2), #pragma pack(pop) 로 구조체를 싸 줬습니다.
요넘이 무슨 이야기냐… 2바이트 단위로 메모리 억세스해! 라는 소립니다.
긍게 short도 정상적으로 저장이 되고 sizeof( data ) 도 12바이트로 나오고… 잘 되요…
그렇습니다.
AssemblyInfo.cs 파일 수정
원래
[assembly: AssemblyVersion( “1.0.0.0” )]
[assembly: AssemblyVersion( "1.0.0.0" )]
으로 되어 있는 것을
[assembly: AssemblyVersion( "1.0.0.*" )]
맨 마지막 0을 *로 변경하면 자동으로 빌드번호 및 수정번호가 들어감.
빌드전 이벤트 명령줄에 다음 추가
———————————————————————————————————————-
FOR /f %%a IN (‘WMIC OS GET LocalDateTime ^| FIND “+”‘) DO SET DTS=%%a SET COMPILEDATETIME=%DTS:~0,8%-%DTS:~8,10% echo %COMPILEDATETIME% > “$(ProjectDir)\Resources\BuildDate.txt”
———————————————————————————————————————-
컴파일할때마다
연월일-시분초.밀리초 포맷으로 컴파일 일시를 BuildDate.txt 파일 생성 시킴
리소스에 다음 파일 추가
$(ProjectDir)\Resources\BuildDate.txt
*주의 : 한번이라도 컴파일을 시도해서 BuildDate.txt 파일이 생성되게 해야 리소스에 추가할 파일을 선택할 수 있음… 아님 수동으로 파일을 만들어 넣덩가…
출력하고 싶은 곳에 다음 코드의 strVer을 출력하면 됨
string strVer = “Ver. ” + System.Reflection.Assembly.GetExecutingAssembly( ).GetName( ).Version + ” Build. ” + Properties.Resources.BuildDate;
대략 이렇게 출력됨
Ver. 1.0.0.517 Build. 20171213-111032.488
끝.